고향사랑기부제 세액공제 연말정산 답례품 혜택

종합소득세 신고는 잘 하셨나요? 세금을 신고하거나 연말정산 기간이 오면 어떻게 하면 세금을 덜 내고, 더 돌려받을 수 있을지 고민하게 되는데요. 고향사랑기부제 세액공제를 이용하면 세액 공제도 받고, 답례품도 받을 수 있으니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고향사랑기부제란?

고향사랑기부제는 자신이 거주하지 않는 지자체에 기부를 하는 제도입니다. 즉, 내가 현재 주민등록상 속해 있는 지역 외의 시·군·구에 일정 금액을 기부하고, 세액공제 혜택과 함께 지역 특산품을 답례로 받을 수 있습니다.

2025 연말정산 달라진 공제항목 8가지가 궁금하신 분은 이전 글을 확인해보세요.

고향사랑기부제 세액공제 혜택

고향사랑기부제의 핵심 혜택은 바로 세액공제입니다. 특히 10만원 이하 기부금은 100% 환급된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이 부담 없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 10만원 기부 시 전액공제
  • 10만원 초과 시 초과금액의 16.5% 세액공제
  • 연간 2000만원 한도

100만원 기부 시 모의계산

  • 10만원 전액 환급
  • 90만원 × 16.5% = 148,500원
  • 총 환급액: 248,500원

기부자 조건

  • 개인 (법인 불가)
  • 지방자치단체

※ 주민등록상 거지주 제외 모든 지자체 기부 가능

고향사랑기부제 특산품 혜택

고향사랑기부제가 인기 있는 또 다른 이유는 바로 답례품입니다. 기부금의 30% 한도 내에서 각 지자체가 제공하는 지역 특산품을 받을 수 있는데요.

아래 위기브 홈페이지에 방문하면 각 지자체 답례품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고향사랑기부제는 연말정산 시 어디에 입력하나요?

연말정산 간소화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수집되며, ‘기부금’ 항목에 포함됩니다. 수동 입력 시 ‘지방자치단체 기부금’으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10만원 기부하면 진짜 손해 없이 돌려받을 수 있나요?

네, 90,900원은 국세 환급, 9,090원은 지방세 공제로 실질적으로 전액 환급됩니다. 거기에 3만원 상당의 답례품까지 받으면 더 이득입니다.

부부가 각각 기부할 수 있나요?

가능합니다. 각각의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다르면 서로 다른 지자체에 기부할 수 있으며, 세액공제도 개인별로 적용됩니다.

어떤 플랫폼을 통해 기부할 수 있나요?

‘고향사랑e음’, ‘위기브’, ‘핀즐’ 등의 온라인 플랫폼에서 지역 선택, 기부 및 답례품 선택까지 한 번에 진행할 수 있습니다.

기부금 영수증은 어디서 발급받나요?

기부를 진행한 플랫폼이나 지자체에서 연말에 기부금 영수증을 제공합니다.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 자동 연동되기도 합니다.

댓글 남기기

배너 이미지